우분투 이야기
강분도
1.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대표
우분투 도메인 : http://ubuntu-kr.org
로코팀 : http://launchpad.net/~ubunto-ko
포럼 : http://ubunto.or.kr
OK JSP 허광남씨가 2만명이 넘었다고 자랑한다고 함.
2. 코분투 개발자
런치패드 : http://launchpad.net/~cobunto
코분투 사무실 : 누리꿈스퀘어 R&D타워 13층
3. 오픈소스 번역의 장점
==우분투 개발환경의 장점==
공짜
설치 쉬움 =>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기가 쉬움
오픈 소스
피드백 => 공개로 인한 장점 => 버그 픽스, 기능 개선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터미널에서 이 명령어 하나로 개발환경을 구축가능하다.
에디터 – Gedit
많은 플러그인
몬법 하이라이트 지원
다양한 언어셋 지원
에디터 – Geany
구문 강조
자동태그
프로젝트 관리 기능, 코드탐색
에디터 – bluefish
HTML 편집에 좋다고 함.
한글 미지원
자바로 짜서 무겁다
IDE
Anjuta –
Glade – XML 을 이용하는 C, C++, C#, Vala, Java
Perl, Python등에서 사용 가능
KDE
우분투에서는 Qdevelop – Qt개발
opendesktop.org
오픈소스 데스크톱 프로그램 발표의 장
설치와 소스 구경 그리고 재미!!
파일 비교 툴
Meld
Diffuse
관리 협업 툴
CVS – 우분투에서 sudo apt-get install cvs로 설치
SVN – 우분투에서 sudo apt-get install subversion libapache2-svn으로 설치
Trac
Git – 요즘 대세 sudo apt-get install git-core로 설치
런치패드
다양한 협업 시스템
16000 여개의 프로젝트
renew를 안하면 회원에서 제외
대표오너의 산출과 회원 재신임
오픈소스 사용자
오픈소스 개발자
자유로워야할 컴퓨터와 우리들
오픈소스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오픈소스를 써야한다.
우분투를 쓰면 모두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오픈소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Seminar > 공개소프트웨어 대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개발 - 고강태 (0) | 2012.08.04 |
---|---|
사람 냄새나는 에자일과 패턴이야기 - 손영수 (0) | 2012.08.04 |
공개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법률문제 - 최철 (0) | 2012.08.04 |
개발자로 살아온 이야기 - 전수현 (0) | 2012.08.04 |
Real World Google App Engine - 장선진 (0) | 2012.08.04 |